삼월 삼짇날(음력 3월 3일)은 봄을 맞이하며 특별한 음식을 즐기는 전통 명절입니다.
진달래 화전, 약식, 두견주 등 삼짇날에 먹는 음식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직접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방법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1. 삼월삼짇날이란?
삼월 삼짇날(三月三日)은 음력 3월 3일로, 본격적인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전통 명절입니다.
삼짇날은 예로부터 자연과 함께하는 날로 여겨져, 꽃놀이와 함께 특별한 음식을 즐기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날은 농경 사회에서 농사의 풍년과 가족의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으며, 특히 봄철 건강식으로 여겨지는 음식들이 많이 먹어졌습니다.
2. 삼월삼짇날에 먹는 전통 음식
삼월 삼짇날은 한국의 전통 명절로, 이날에는 다양한 전통 음식을 즐깁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화전, 화면, 수면, 쑥떡 등이 있습니다.
이 음식들은 봄의 제철 재료를 활용하여 만든 시절음식으로, 각 가정에서 즐기는 전통적인 명절 음식입니다.
1. 화전 (花煎)
화전은 진달래꽃을 찹쌀가루에 반죽하여 만든 전통 음식입니다.

진달래꽃은 봄의 상징으로, 이 꽃을 사용하여 만든 화전은 계절감을 잘 표현합니다.
◆ 재료
- 찹쌀가루 200g
- 뜨거운 물 30ml
- 진달래꽃 (암술과 수술을 제거한 꽃잎)
- 설탕
- 물
- 식용유
◆ 만드는 법
- 반죽 준비: 찹쌀가루에 뜨거운 물을 조금씩 넣어 반죽합니다. 너무 뜨거운 물은 피하세요.
- 반죽 빚기: 반죽을 떼어 직경 6cm 정도의 납작한 동전 모양으로 빚습니다.
- 화전 지지기: 팬에 약한 불로 식용유를 두르고 반죽을 올립니다. 뒷면이 살짝 익으면 뒤집습니다.
- 꽃 올리기: 뒤집은 면에 진달래꽃을 펴서 올립니다. 나머지 면이 익으면 꺼냅니다.
- 시럽 만들기: 설탕과 물을 1:1 비율로 넣어 설탕이 녹을 때까지 저어 설탕 시럽을 만듭니다.
- 완성: 완성된 화전에 설탕 시럽을 뿌려 먹습니다.

2. 화면 (花麵)
화면은 녹두가루를 반죽하여 만든 국수와 같은 음식으로, 오미자국에 꿀을 타고 잣을 띄운 후 먹습니다.
◆ 재료
- 녹두가루
- 오미자
- 꿀
- 잣
◆ 만드는 법
- 녹두가루 반죽: 녹두가루를 물에 반죽하여 익힙니다.
- 가늘게 썰기: 익힌 녹두가루를 가늘게 채 썰어 준비합니다.
- 오미자국 만들기: 오미자와 물을 끓여 국물을 만듭니다.
- 완성: 썰어놓은 녹두가루를 오미자국에 넣고 꿀을 타고 잣을 띄워 먹습니다.
3. 수면 (水麵)
수면은 진달래 꽃잎을 녹두가루에 반죽하여 붉은색으로 물들여 만든 음식으로, 꿀물에 띄운 후 먹습니다.
◆ 재료
- 진달래 꽃잎
- 녹두가루
- 붉은색 물감
- 꿀
◆ 만드는 법
- 반죽 준비: 진달래 꽃잎을 녹두가루에 반죽합니다.
- 물들임: 붉은색 물감을 넣어 물들입니다.
- 꿀물 만들기: 꿀과 물을 섞어 꿀물을 만듭니다.
- 완성: 반죽한 수면을 꿀물에 띄워 먹습니다.


4. 쑥떡
쑥떡은 부드러운 쑥잎을 찹쌀가루에 섞어 만든 떡입니다.
봄철에 주로 즐기는 음식으로, 쑥의 향과 함께 쌀의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재료
- 쑥 300g
- 찹쌀가루 300g
- 소금 1작은술
- 유기농원당 2-3큰술
◆ 만드는 법
- 쑥 준비: 쑥을 끓는 물에 데쳐 물기를 짠 후 잘게 썰어 블렌더에 넣고 곱게 간다.
- 반죽: 찹쌀가루, 소금, 원당, 쑥을 넣고 반죽합니다.
- 떡 빚기: 반죽을 도톰 넙적하게 빚어 찜기에 올립니다.
- 찜기에서 찌기: 김이 오른 찜기에 20분간 찹니다. 불을 끄고 5분 뜸을 들인 후 꺼냅니다.
이러한 전통 음식들은 삼월 삼짇날의 의미를 더해주며, 봄의 제철 재료를 활용하여 만든 시절음식으로, 가족과 함께 즐기는 것이 좋습니다.
3. 삼짇날 음식과 관련된 풍습
🌼 진달래 꽃잎 띄운 물로 머리 감기
삼짇날에는 진달래꽃을 띄운 물로 머리를 감으면 한 해 동안 건강하고 윤기 있는 머릿결을 유지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 유상곡수 (流觴曲水) 자연과 함께하는 술자리
유상곡수는 시냇물에 술잔을 띄우고 술이 자기 앞에 도착하면 마시며 시를 읊는 전통 행사입니다.
고려와 조선 시대 문인들이 즐기던 풍류 문화의 한 형태였습니다.
🌸 꽃놀이와 나들이
삼짇날은 봄꽃이 만개하는 시기로,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꽃놀이를 가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4. 마치며
삼월 삼짇날은 봄의 기운을 느끼며 자연과 함께하는 전통 명절입니다.
진달래 화전, 약식, 두견주, 국수 등 특별한 음식을 즐기며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삼짇날을 기념해 전통 음식을 만들어 보거나 봄나들이를 가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이번 삼짇날에는 가족과 함께 삼짇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봄을 만끽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삼월 삼짇날 뜻과 유래 전통 풍습 총정리
삼월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에 해당하는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로, 봄을 맞이하며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날입니다. 예로부터 삼짇날에는 화전놀이를 즐기고, 유래 깊은 풍습들이 전해져 내려
cloudscroll.golednyoung.com
화담숲 봄 수선화 축제–봄꽃 향연 속 힐링 여행
화담숲 봄 수선화 축제가 시작됩니다! 2025년 봄, 노란빛 수선화가 가득한 화담숲에서 자연 속 힐링을 즐겨보세요. 방문 정보, 입장료, 주차장 팁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목차 (✅열기) 🌼
cloudscroll.golednyoung.com
수선화 꽃말 의미 종류
수선화는 아름다운 외형과 깊은 의미를 지닌 꽃입니다. 이 글에서는 수선화 꽃말과 의미, 다양한 종류, 그리고 수선화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까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수선화의 매력과 감
cloudscroll.golednyoung.com
'맞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명 한식에 얽힌 흥미로운 속담들 (0) | 2025.04.03 |
---|---|
청명 유래 한식과 연관된 의미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 (0) | 2025.03.31 |
삼월 삼짇날 뜻과 유래 전통 풍습 총정리 (0) | 2025.03.24 |
춘분 뜻과 음식 봄의 시작을 알리는 날 먹는 음식은? (0) | 2025.03.19 |
춘분 추분 뜻 어떻게 다를까? (0) | 2025.03.18 |